연준 조기 긴축 우려 등으로 혼조세
미국 3 대 증시는 7 월 ISM 서비스업 PMI 호조, 대형 테크주 강세에도, 7 월 ADP 민간고용 쇼크, 연준 부의장의 매파적 발언 등이 위험선호심리를 위축시킴에 따라 혼조세로 마감(다우 -0.9%, S&P500 -0.5%, 나스닥 +0.1%)하였다.
미국의 7 월 ADP 민간부문 신규고용은 33.0 만건으로 전월(68.0 만건) 및 예상치(69.5 만건)을 대폭 하회하였다. 서비스업 고용이(62.4 만건→31.8 만건)으로 급감했다는 점이 전반적인 고용 부진을 견인한다. 7 월 ISM 서비스업 PMI 는 64.1 로 전월(60.1) 및 예상치(64.0)를 모두 상회하며 사상최고치를 경신하였다. 물류 등 공급난, 인력난이 지속되고 있음에도, 미국 서비스업황은 수요 호조에 힘입어 확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모습이다.
클라리다 연준 부의장은 현재로선 금리인상까지 갈길이 멀지만 연준의 전망대로 경제가 성장한다면 2022 년말까지 금리 인상을 위한 조건이 충족될 수 있다고 언급하였다. 또한 공급 문제에서 기인한 인플레이션 압력은 시간이 지나면 해소될 것이라 평가하면서도 인플레이션 전망의 위험은 위쪽에 있다고 강조하였다.
델타변이로 인한 경기 둔화 불안감이 상존한 가운데 ADP 민간 고용 쇼크로 6 일(금) 비농업부문 고용(예상 75 만건)도 크게 부진할 것이라는 우려도 부각되고 있는 모습이다. 물론 민간 기관에서 집계하는 ADP 민간고용은 정부에서 집계하는 비농업부문 고용을 예측해주는 선행지표로 알려져 있으나, 판데믹 이후에 ADP 의 예측력이 감소했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일례로, 4 월 ADP 고용(72 만, 예상 80 만)은 예상치를 소폭 하회했으나 비농업부문 고용(26 만, 예상 98 만)은 쇼크를 기록하기도 하였다. 5 월의 경우 ADP 고용(98 만, 예상 65 만)은 서프라이즈를 기록했지만 비농업부문 고용(56 만, 예상 65 만)은 예상치를 소폭 하회하는 등 서로 다른 결과를 보였던 사례들이 최근 자주 출현했음을 감안 시, 6 일(금) 비농업부문 고용에 대한 과도한 불안감을 갖는 것은 지양할 필요가 있다.

한국 증시 전망
한국 증시는 미국 고용 둔화 VS 연준 부의장의 매파적 발언 등 미국발 불확실성에 영향을 받아 하락 압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전 거래일 미국 증시에서 AMD(+5.5), 엔비디아(+2.3%) 등 대형 테크주들의 주가는 상대적으로 좋았음을 감안 시, 금일 국내 증시에서도 업종간 차별화된 수급 여건 및 주가 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한다. 한편, 연초 이후 지난 7 월까지 24 조원 넘게 공격적인 순매도를 했던 외국인들이 최근 반도체 중심으로 순매수를 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동안 포지션을 상대적으로 많이 비워놨던 반도체, 자동차 한국증시 본격적 순매수 기대감이 부각되고 있는 모습으로 외국인들의 순매도가 과도한 측면이 있는 것은 사실이며 추후 한국 증시 비중 확대 작업을 전개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지만, 단기적으로는 전 거래일 미 증시의 부진한 흐름을 감안 시, 금일에는 매수 강도가 둔화될 가능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연준 조기 긴축 우려 등으로 혼조세
미국 3 대 증시는 7 월 ISM 서비스업 PMI 호조, 대형 테크주 강세에도, 7 월 ADP 민간고용 쇼크, 연준 부의장의 매파적 발언 등이 위험선호심리를 위축시킴에 따라 혼조세로 마감(다우 -0.9%, S&P500 -0.5%, 나스닥 +0.1%)하였다.
미국의 7 월 ADP 민간부문 신규고용은 33.0 만건으로 전월(68.0 만건) 및 예상치(69.5 만건)을 대폭 하회하였다. 서비스업 고용이(62.4 만건→31.8 만건)으로 급감했다는 점이 전반적인 고용 부진을 견인한다. 7 월 ISM 서비스업 PMI 는 64.1 로 전월(60.1) 및 예상치(64.0)를 모두 상회하며 사상최고치를 경신하였다. 물류 등 공급난, 인력난이 지속되고 있음에도, 미국 서비스업황은 수요 호조에 힘입어 확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모습이다.
클라리다 연준 부의장은 현재로선 금리인상까지 갈길이 멀지만 연준의 전망대로 경제가 성장한다면 2022 년말까지 금리 인상을 위한 조건이 충족될 수 있다고 언급하였다. 또한 공급 문제에서 기인한 인플레이션 압력은 시간이 지나면 해소될 것이라 평가하면서도 인플레이션 전망의 위험은 위쪽에 있다고 강조하였다.
델타변이로 인한 경기 둔화 불안감이 상존한 가운데 ADP 민간 고용 쇼크로 6 일(금) 비농업부문 고용(예상 75 만건)도 크게 부진할 것이라는 우려도 부각되고 있는 모습이다. 물론 민간 기관에서 집계하는 ADP 민간고용은 정부에서 집계하는 비농업부문 고용을 예측해주는 선행지표로 알려져 있으나, 판데믹 이후에 ADP 의 예측력이 감소했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일례로, 4 월 ADP 고용(72 만, 예상 80 만)은 예상치를 소폭 하회했으나 비농업부문 고용(26 만, 예상 98 만)은 쇼크를 기록하기도 하였다. 5 월의 경우 ADP 고용(98 만, 예상 65 만)은 서프라이즈를 기록했지만 비농업부문 고용(56 만, 예상 65 만)은 예상치를 소폭 하회하는 등 서로 다른 결과를 보였던 사례들이 최근 자주 출현했음을 감안 시, 6 일(금) 비농업부문 고용에 대한 과도한 불안감을 갖는 것은 지양할 필요가 있다.
한국 증시 전망
한국 증시는 미국 고용 둔화 VS 연준 부의장의 매파적 발언 등 미국발 불확실성에 영향을 받아 하락 압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전 거래일 미국 증시에서 AMD(+5.5), 엔비디아(+2.3%) 등 대형 테크주들의 주가는 상대적으로 좋았음을 감안 시, 금일 국내 증시에서도 업종간 차별화된 수급 여건 및 주가 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한다. 한편, 연초 이후 지난 7 월까지 24 조원 넘게 공격적인 순매도를 했던 외국인들이 최근 반도체 중심으로 순매수를 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동안 포지션을 상대적으로 많이 비워놨던 반도체, 자동차 한국증시 본격적 순매수 기대감이 부각되고 있는 모습으로 외국인들의 순매도가 과도한 측면이 있는 것은 사실이며 추후 한국 증시 비중 확대 작업을 전개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지만, 단기적으로는 전 거래일 미 증시의 부진한 흐름을 감안 시, 금일에는 매수 강도가 둔화될 가능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